전체 글32 미군의 최첨단 소형전술차량 'JLTV' 고기동다목적 전술차량! 미군은 많은 실전을 경험하면서 방어력이 취약한 험비를 대체하기 위해 새로운 고기동 다목적 전술차량을 개발하였다. 그것이 바로 현재의 최첨단 소형전술차량인 JLTV로 잘 알려져 있는 고기동다목적전술차량이다. 험비의 문제점 험비는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수없이 많은 실전을 경험한 미군의 없어서는 안 될 전술차량이었다. 특히 1991년 걸프전 당시 CNN을 통해 생중계되면서 험비는 미군 하면 떠오르는 아이딘티티와 같이 자리 잡으면서 강인하면서 험상궂게 생긴 마초적인 매력을 갖고 있는 미군과 매우 잘 어울리는 차량으로 세계인들에게 너무도 잘 알려졌다. 그러나 험비는 1982년 시제품을 시작으로 1985년 도입을 시작하여 2015년 퇴역하기 전까지 16만 여대를 생산하여 운용하였지만 급조폭발.. 2023. 3. 6. 도시지역전투기술의 전투사격 기본중의 기본과 기초 모든 스포츠나 무술을 배울 때 권장하는 기본자세가 있듯이 전투사격에도 권장하는 기본자세가 있다. 기술이 일정한 수준에 오르면 개성적인 자세로도 적절한 사격 능력이 발휘되겠지만, 전투사격을 처음으로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권장하는 기본자세를 익혀야만 효율적인 전투기술을 익힐 수 있다. 전투사격 전투사격은 효율적인 전투를 위해 전투원의 신속한 기동능력을 높일 수 있는 사격자세를 기본으로 한다. 그러나 처음 접하는 전투원들은 자세를 익히기에 어색한 부분이 많아 기존에 숙달된 편한 자세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크다. 물론 기존의 자세가 그 순간에는 편하겠지만 단 한 발에도 생사가 결정되는 실전을 생각한다면 그저 편한 자세만을 고집해서는 안 되며 보다 효율적인 전투를 위한 기본자세를 습득해 나가야 한다. 권장하는 기본자.. 2023. 3. 5. 근접전투(CQB/CQC)란 무엇인가? 기본과 기초에 대해서 CQB는 Close Quarter Battle의 약자로 근접전투 또는 근접전투에 사용되는 기술 전반을 말한다. 미 육군 특수부대 및 경찰특공대 등에서 많은 전장, 교전 상황과 테러상황을 진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이기도 하다. 근접전투기술 불과 몇 년 전만 하더라도 특전사 707, 해 특단 UDT, 경찰특공대, 해양경찰특공대 정도를 제외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전혀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했던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때보다는 우리 군에서도 많은 부분을 받아들이고 발전시켜 나가고 있지만 현재도 옛날 고전 방식의 교육훈련 및 사격 방법을 사용 중이고 중요한 부분은 맞지만 안전위주의 실전적이지 못한 부분이 많다. 모든 훈련에는 안전이 항상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은 맞다. 하지만 그로 인해 실전적이지 못한 훈련이 된다는.. 2023. 3. 4. K-9 자주포 '썬더' 세계가 인정한 대한민국 명품 자주포! K-9 자주포는 명실상부 세계가 인정한 세계 최강의 자주포라 할만하다. 독일의 PZH-2000 자주포가 있긴 하나 성능면에서는 거의 격차가 없이 대등하고 가격측면과 후속군수지원 서비스는 우리가 월등하다는 평가로 각국에서 명품으로 불리고 있다. K-9자주포의 탄생배경 너무 자랑스러운 세계가 인정한 대한민국의 명품 K-9 자주포, 탄생 배경은 한국군 최대 걱정과 고민이었던 북한의 포병전력 이였다. 북한은 중국의 63식 장갑차의 차체를 카피해서 대량 생산하여 많은 포를 자주화 시켰다. 북한의 열병식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북한의 자주포들은 지금의 현대화 자주포와 같은 능력을 발휘하지는 않지만 스스로 움직일 수 있다는 장점은 그때 당시 우리에게 큰 위협이었고 물량 또한 우리 군보다 4배가 많은 포를 보유하고 있었.. 2023. 3. 4. 청해부대 파병의 핵심전력인 대한민국 해군의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은 KDX-II 차세대 구축함 사업에 의해서 6척이 건조된 대한민국 해군의 주력 구축함으로 대한민국 해군 최초로 구역 방공 능력을 갖춘 다목적 구축함이라고 할 수 있다. 청해부대 파병의 핵심 전력 청해부대 파병되는 배들이 이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이며 모두가 잘 아는 아덴만여명 작전에 참여했던 구축함도 충무공 이순신급 66번 함인 최영함이었다.. 충무공 이순신급 구축함의 취역으로 인해 우리 해군이 대양해군의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으며 선진해군으로 접어들었다고 얘기할 수 있는 자랑스러운 군함이다. 차세대 구축함 사업 KDX-II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그 때 당시 연안해군 수준이었던 해군의 능력을 벗어나 해상교통로를 보호, 원양 작전 수수행을 위해 현대적인 대공, 대함, 대잠전 수행이 가.. 2023. 3. 4. F-15K 전투기 '슬램이글' 대한민국 하늘을 지키는 최강 전력! 대한민국 하늘을 지키는 슬랩이글 전투기 F-15K는 F-35A 스텔스 전투기 전까지는 우리 공군의 최강 전투력 이였습니다. 현재도 그 목적와 활용도에 있어서 F-35A 전투기보다 강력한 부분과 장점이 존재 합니다. 많은 어려움을 이겨내고 도입한 F-15K 공군은 1983년에 F-15K 도입 소요제기를 했으며 합참은 1985년 타당성을 인정하여 승인하였지만 KFP사업으로 인해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되었다. KFP사업은 F-16를 라이센스 대량 생산 사업으로 주적인 북한의 공군력에서 숫적 우위를 점하기 위해 진행한 사업이다. KFP사업이 종료되면서 1995년부터 F-15K 도입사업이 다시 이야기가 나오면서 많은 국가들에서 정상급 전투기들을 우리나라에 제시하였다. 하지만 사업이 한창 진행 중이던 1997년 우리.. 2023. 3. 4. 대한민국 제식화기 K2! 우리나라 대표 소총에 대해서 K2 소총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소총이며 한국군의 제식 소총이기도 하다. 박정희 대통령의 자주국방 일환으로 M16 소총을 대체하기 위해 한국형 국산소총에 대한 개발을 지시하면서 역사는 시작되었다. 1972년 ADD(국방과학 연수소)에서 개발을 착수하여 1984년 S&T모티브(구 대우정밀)에서 생산하였으며 1986년 전력화되어 실전배치되면서 우리 군의 제식 소총이 되었다. 이름에서 예상이 가능하듯이 K2 소총 전에 K1소총이 먼저 생산되었기 때문에 사실 최초의 국산소총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K1은 한국형 기관단총, K2는 소총으로 이름 붙여지면서 최초의 소총이라고도 할 수 있다. K1에 대한 내용은 따로 포스팅을 하는 것으로 하고 오늘은 K2에 대해서만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K2 소총의 제원 중량 3.26.. 2023. 3. 4. 탄창교환 훈련 시에도 안전수칙은 필수며 부상시 사용되는 탄창교환 방법(탄창교환 4부) 모든 기술이 마찬가지겠지만, 전투기술 또한 부단한 훈련이 선행되어야 전투원의 진정한 실력으로 정착된다. 이 시간엔 효율적인 탄창교환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나 샷타이머와 같은 별도 장비를 활용한 안전 하면서 흥미로운 탄창교환 훈련 방법을 알아보기로 하겠다. 또 최악의 상황으로 한손의 부상으로 지속적인 교전을 이어가야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술 또한 훈련과 습득이 필요하다. 드라이 파이어(Dry Fire) 탄창교환 훈련은 충분히 숙달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탄으로 훈련할 경우 사고 위험이 있으므로 처음에는 드라이 파이어로 시작해 공포탄으로 훈련한 후 충분히 숙달되면 실탄을 사용한 훈련으로 실전 감각을 익힌다. 드라이 파이어란 장전되지 않은 총기를 이용하여 실제 사격장에서 훈련하는 방식으로.. 2023. 3. 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