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K.dad 전술 이야기/Army

대한민군 육군 K2 흑표 전차

by M.K.D 2023. 2. 15.

대한민국 육군 국산 K2 흑표 전차

국내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세계 최정상급 국산전차 흑표!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로 1995년 개발이 진행되었다. 2012년까지 육군에 인도하는 것이 목표였지만, 엔진과 변속기, 냉각장치 등으로 구성된 국산파워팩 문제로 군에서 요구했던 ROC를 충족시키지 못하면서 양산이 늦어지게 되었다. 2003년 체계개발에 돌입하여 파워팩까지 국산화를 하기로 결정하였다. 엔진은 두산인프라코어가, 변속기는 S&T중공업이 개발을 맡기로 하고 개발시한은 2012년까지 였다. 최초 시제품은 200732XK-2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고 대당 가격은 8383억 원으로 책정되었다. 2008년 말까지 육군의 시험평가 기간을 갖고 전투용적합 판정을 받게 되면서 2년의 양산 준비기간을 거쳐 2011년부터 실전 배치한다는 것이 계획이었다. 그러나 2010년 파워팩 개발에 심각한 결함이 발생하면서 2012년 전력화가 불투명해졌다. 그러면서 최초 300대 양상 계획에서 200대로 줄어들었다. 국산 파워팩 개발이 난항을 겪으면서 1차 양산분에 대해서는 해외 파워팩을 적용하기로 결정하고 2차 양산분용 파워팩은 국내개발을 계속 추진하기로 하였다. 해외 파워팩을 1차 양산분에 적용하기로 하면서 전력화를 시작하였지만 그 시기도 최초 계획보다 늦어지게 되어 버렸다. 이 후 계속되는 국산파워팩의 개발을 지속하였으나 어려움을 느낀 개발사와 바위사업청의 강력한 요구로 ROC를 완화해주게 되었다. 201511월 두산인프라코어는 7년 여만에 엔진 개발에 성공하여 100대의 엔진을 생산하였다. 이 엔진은 최초 300대에서 200대로 줄어들었던 100대의 물량에 대한 엔진으로 공급하였다. 하지만 그 후로도 부품파손, 누유현상과 균열, 변속장치 파손 등의 결함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다. 이처럼 개발 시작과 동시에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는 파워팩 논란은 완전히 해결되었다고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파워팩 중에서 엔진의 성능은 문제가 없다고 판정되어 2018년 국산엔진과 외국산 변속기를 탑재하는 방향으로 2차 양산을 결정하였다. 3차 양산까지도 22차 양산과 동일한 파워팩이 탑재되는 것으로 결정이 난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4차 양산 사업부터는 국산파워팩 탑재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장점 및 특징

K2전차는 많은 장점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그중 첫 번째가 자동장전장치를 탑재하면서 발사속도가 우수하고 운용 인원이 1명 줄어들면서 3명의 승무원만으로 전차를 운용한다. 탄약은 자동장전장치에 16, 예비탄 24발로 총 40발을 적재한다. 그리고 피격에 의해 내부저장탄 유폭시 폭발이 상부로만 집중되는 구조로 승무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두 번째로 한국형 복합자갑과 반응장갑을 추가하면서 세계 최고 수준의 방어력을 자랑한다. 세 번째는 우리의 주적이 북한인 만큰 화생방 상황에서 승무원들의 생존성을 보장하고 원활한 임무수행이 지속되도록 양압장치를 탑재하고 에어컨으로 쾌적한 실내를 유지할 수 있다. 네 번째는 유기압 현수장치이다. 이전까지는 토션바 서스펜션으로 간단한구조와 정비성이 용이하여 예전에는 모든 전차들이 토션바를 채택하였으나 우리 K2전차는 무게를절감하고 기동성향상, 충격흡수 우수, 주행안전성과 승차감 향상, 각각의 축을 제어해 차고를 조절할 수 있어 자세제어가 가능하다는 유기압 현수장치를 채택하여 탑재하였다.. 민간행사시 우리 전차들이 보여주는 자세제어 퍼포먼스 또한 이 유기압 현수장치의 능력이다.

 

다음은 전차에서 빼놓을 수 없는 화력으로 K2전차는 WIA CN8 120mm 55 구경장 활강포다. 자동장전장치로 1분당 최대 10발 이상을 장전 가능하며, 프랑스의 르클레르 전차의 자동장전장치를 역설계하여 개발했다고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의 최신예 날개안정분리철갑탄 K-279 관통력은 RHA 대비 2Km 기준 700mm 중반 이상, 최대 800mm 초중반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또 제한적이지만 공중공격도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또 고성능 사격통제장치를 탑재하여 목표물의 거리와 탄도를 계산하고 고각과 방위각 설정, 목표물 자동추적, 동적 포구감지기를 장착하여 명중률과 정밀성이 압도적으로 개선되었다. 그리고 전장관리체계가 탑재되어 있어 복합항법장치, 지형, 아군, 본인을 내비처럼 구현한다.

 

6.25전쟁을 겪으면서 전차에 대한 서러움을 K1, K2전차로 풀고 있고 전차가 없던 국가에서 세계에서 손꼽히는 최신형 고성능 전차를 개발하기까지 우리는 수많은 고난을 헤쳐왔다. 지금은 K방산이라는 수출 효자 상품 중 하나로 엄청난 이슈를 끌고 있다.

 

우리 국산 무기의 수출에 대한 이야기와 K2흑표가 있을 수 있었던 현재 수적으로 대한민국의 주력전차라고 할 수 있는 K1전차에 대한 이야기를 준비하여 포스팅하도록 하겠다.\

제원

승무원 3

전투중량 55

최대속도 포장도로 70 / 야지 50

항속거리 450Km

잠수도하 4.1m

엔진 1500마력 디젤

주포 120mm 55 구경장 활강포, 자동장전

탄약 40발 적재

부무장 12.7mm / 7.62mm 기관총

제작사 현대로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