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dad 전술 이야기/Army

현대로템 K2전차 '흑표' 노르웨이 수출 실패

M.K.D 2023. 3. 16. 10:25

노르웨이 육군 차세대 전차 도입사업 수주전에 뛰어들었던 국내 대표 방산기업 중 하나인 현대로템은 K2전차 '흑표'를 노르웨이 버전으로 개량하여 출품하여 독일의 레오파르트 2A7 전차와 경쟁하여 좋은 성적을 거뒀으나 결과는 실패였다.

 

노르웨이 육군 차세대 전차 도입사업

노르웨이는 초도물량 54대를 시작하여 최대 200대까지 차세대 전차를 도입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했었따. 우리나라 대표 방산기업 중 하나인 현대 로템이 K2전차를 개량하여 K2NO란는 이름으로 시험평가 차량을 제작하여 노르웨이로 보냈다. 경쟁 상대는 역시나 전차강국 독일이 출품한 레오파르트 2A7 NO와 경쟁했다. 시험평가 결과는 우리 K2전차가 성능, 가격, 후속군수지원, 납기 등에서 훨씬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결과적으로는 고베를 마셨다. 현대로템은 사업 수주에 성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노르웨이 측에 파격적인 좋은 제안들을 많이 내놓았지만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다. 세계 여러 군사전문가들은 대한민국의 K2전차가 승리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정치, 외교적인 문제로 독일의 벽을 넘지 못했다.

 

K2NO전차와 레오파르트2A7NO 전차의 비교(K2 전차의 우수성)

짧지 않은 시간을 노르웨이 현지에서 극한의 시험평가를 거치면서 투명한 시험평가 결과가 나온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화력적인 부분은 동일한 120mm 55 구경장 활강포를 사용한다. 하지만 사격통제장치와 포신안정화 장치등에서 높은 성능을 발휘하였고 관통능력에서도 동일한 제원의 포를 탑재하고 있지만 레오파르트는 2000m 거리에서 균질압연강판에 대한 관통력이 630mm 정도였던 것에 반해 우리 K2 sms 800mm의 관통력으로 주포와 탄약의 우수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 자동장전장치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레오파르트에 비해 우리 K2는 자동장전장치가 탑재되어 있어 빠른 연사속도를 자랑하면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방어력 분야에서는 국내기업 삼양컴택이 개발한 신형 복합장갑을 적용하여 개량한 버전으로 높은 방어력 성능을 보이면서 레오파르트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K2는 레오파르트보다 4톤 정도가 가벼워 방어력이 떨어질 수도 있을 것이라는 일부 군사전문가들의 예상이 있었지ㅣ만 국내기업인 삼양컴택의 차세대 신형 복합장갑과 능동방어장치를 함께 적용하여 탑재하면서 방어력면에서도 우위를 점했다. 기동성 분야에서는 두 전차모두 동일한 파워팩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총중량에서 가벼운 우리 K2가 월등하다. 노르웨이 측의 요청으로 독일의 MTU MB883 계열의 엔진과 파워팩을 탑재한 두전차의 기동성은 기교자체가 안된다고 보면 된다. 민첩성, 가속성, 최대속도 등 기동성 분야 모든 면에서 우수한 성적을 냈다고 한다. 

 

노르웨이 안보 상황

현재 노르웨이는 매우 급한 상황ㅇ이다. 그이유는 러시아와 국경을 마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남일이 아니라고 생각하게 된 것이다. 노르웨이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직간접으로 안보적인 위협을 느끼는 국가들이 급격한 국방비를 늘리면서 자국 국방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한 나라 중 가장 최전선에 있는 나라가 노르웨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노르웨이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전차는 52대로 이 전차들을 대체하기 위해 54대를 도입하는 사업으로 시작하였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을 지켜보면서 육군력을 높여야겠다는 생각을 하면서 최대 200대까지 도입하는 사업으로 확대 추진하게 된 것이다. 현대전에서 육군의 기갑전력 잉 얼마나 필요하겠느냐는 2~3년 전의 생각들이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완전히 틀렸다는 것을 모든 국가가 알게 되었다. 전차, 자주포, 다연장로켓시스템과 같은 재래식 무기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이번 전쟁으로 알게 되면서 우리나라의 기갑장비들과 국산무기들이 많은 나라들에게 러브콜을 받고 있는 것이다.

 

노르웨이 수출 왜 실패 했나?

지금 확실히 얘기 할 수 있다. 노르웨이 K2전차 수출은 실패했다. 시험평가 결과는 K2전차의 승리가 사실상 확실시되었었고 노르웨이의 현지 언론들도 실제로 그렇게 보도했었다. 또 노르웨이 육군은 강력하게 K2전차의 도입을 원했다고 알려졌으며 최근에는 노르웨이 총참ㅁ모장이 사업에 대한 실체를 폴로 하는 내용의 보도가 나오기도 했었다. 노르웨이 총참모장은 이번 레오파르트전차 도입을 결정하는 과정에 정부의 이해할 수 없는 부당한 정치적 결정이 있었다고 폭로한 내용이다. 독일의 레오파르트는 K2보다 2배나 비싼 높은 가격임에도 불구하고 성능은 K2에 미치지 못했다는 시험평가 결과를 얘기하면서 독일과 대한민국의 전차 납기에 대한 부분까지 지적하였다. 독일은 무기 납기가 지연되고 오래 걸리기로 유명한데 반해 대한민국은 납기를 오히려 계약일보다 단축시키는 국가라고 말한 것이다. 이러한데도 노르웨이가 돌이랑의 레오파르트 도입을 결정한 것은 정치적 결정이었고 이와 같은 결정을 노르웨이 군에서는 강하게 반발하고 있고 총참모장 본인도 공식적으로 크게 비판하고 나선 것이다. 총참모장의 폭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군에서 정부로 보고한 시험평가 결과에 대한 내용을 내각에서 완전히 무시했고 독일전차를 이미 결정해 놓고 사업을 추진한 것이 아닌가 의심이 된다고 말하였다. 또 노르웨이 군은 대한민국 전차를 도입하지 못한다면 전차도입사업을 전면 백지화하고 그 예산으로 다른 무기를 도입하는 ㅅ ㅏ업을 하겠다는 군의 의견 또한 내각에서 묵살했다고 폭로한 것이다. 독일과 대한민국이 노르웨이 정부에 미치는 영향력을 따져본다면 독일에게 비교할 수 없다는 것은 알고 있다. 하지만 대한민국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노르웨이 정부의 선택이 안타깝고 돌일이 무슨 방법을 동원했는지는 모르겠지만 노르웨이 정부가 독일을 선택할 수밖에 없도록 만든 것에 대한 능력은 한판으론 부럽기도 하다.

 

K2전차 '흑표' 노르웨이 시험평가에서 세계최고로 인정받다.

노르웨이 수출을 실패한 것은 안타깝지만 얻은 것이 없는 것은 아니다. 전차강국, 기갑장비제작 강국 돌일을 노르웨이 현지 시험평가에서 세계가 주목한 가운데 완벽한 승리를 했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졌지만 잘 싸웠다는 말이 있듯이 이번엔 졌지만 다음엔 그렇지 않을 것이라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확신한다. 우리 K2전차는 계속해서 선능이 향상될 것이지만 독일의 레오파르트는 그렇지 못할 것이기 때문이다. K2와 레오파르트는 규모자체가 비교할 수 없다. 규모의 경제에서 우리 K2가 압도하고 있기 때문에 후속군수 지원과 도입계약 시 납기에도 비교자체가 어렵다. 또 이번 노르웨이 사업수주로 독일은

노르웨이 물량만을 감당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전해진다. 독일 국내에는 생산라인 자체도 없기 때문에 이집트에 남아 있는 생산라인을 사용할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집트에서 부품을 생산하여 독일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노르웨이에 2026년부터 1년에 10대씩 납품하기로 계약했다고 전해진다. 노르웨이 측의 요구조건은 2025년부터 초도분을 납품받길 원했지만 그 납기에 맞추지 못한 것이다. 이처럼 독일은 현재 물량만으로도 힘든 상황인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있을 각국의 전차도입사업에서 레오파르트를 제외한다면 우리 K2전차와 성능면에서는 경쟁할 수 있는 전차는 없다. 가격까지 생각한다면 우리 K2전차뿐일 것이다. 하지만 가격은 논외로 치고 성능만 따져서 비교해도 K2전차와 경쟁할 수 있는 전차는 없다고 생각한다. 노르웨이 전차 도입사업을 계기로 우리 국산 K2전차를 세계에 다시 한번 알릴 수 있었고, 그 경쟁 상대가 독일이었으며 전차강국 독일을 전차로 모든 면에서 완벽한 승리를 하면서 우리는 많은 것을 얻을 수 있었다.

 

 

 

우리 국산무기들이 세계 각지로 수출되면서 활약하고 있다. 전차, 자주포, 전투기, 다연장, 군함, 잠수함 등이 수출되었고 현재도 수출하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 노력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 최근에는 폴란드와 루마니아가 우리 국산무기를 수입하는 큰손으로서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무기 도입사업을 연일 계약하면서 K방산의 전 세계로 진출에 도움이 되고 있다. 폴란드나 루마니아와 같이 규모가 엄청나지는 않지만 다른 여러 나라들과도 무기도입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협의하고 있다고 알려지고 있어 너무 자랑스러운 마음이 든다. 폴란드의 우리 국산 무기도입사업 계획에 대한 내용과 루마니아와의 계획 내용을 별도로 정리하여 각각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다. 또 두 국가를 제외한 우리나라 무기를 도입하여 사용 중이거나 도입할 나라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여 하나의 포스팅을 만들어 보도록 하겠다.